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다같은 '발생하다'가 아니였던 거였어! 그런거야? 1. Happen ‘Happen’은 우연히 또는 예상치 못하게 일어나는 것을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중세 영어의 ‘happen’이나 고대 프랑스어의 ‘aconter’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단어들은 라틴어의 ‘accidere’에서 파생되었으며, ‘ad’(to)와 ‘cadere’(fall)의 조합이기 때문에 ‘떨어지다’ 또는 ‘떨어져서 발생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What happened to your phone? 당신의 전화기에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Accidents happen all the time. 사고는 항상 일어납니다. I happened to see Jack at the grocery store. 우연히 잭을 마트에서 봤어요. Did anything interesting ha.. 더보기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한국말로 해석에서는 같은 의미로 사용하더라도, 말하려고 할때 전혀 다른 느낌으로 전해지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흔히 영어식 사고'라고 하는데, 저는 아직도 이 부분이 어렵습니다. ㅠㅜ 그래서 늘 단어의 쓰임새에 신경 쓰게 되는데, 오늘의 단어가 그렇습니다. 한국말에는 '결정하다'가 한 단어로 사용되는데 반해 영어에서는 이 말을 세분화해서 사용합니다. 그래서 그 쓰임새를 우리는 다 확인해야 제대로 된 사용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출발하겠습니다. 1. Decide ‘decide’는 라틴어 ‘decidere’에서 파생되었으며, ‘de-’는 ‘완전히’를 의미하고, ‘-cidere’는 ‘베다, 자르다’를 의미합니다. 즉, 내게서 완전히 잘라버리고 다시는 연결시키지 않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뜻합니다. 다른 사람의.. 더보기
result, consequence, conclusion의 차이점? 1. Result ‘Result’는 ‘어떤 동작, 사건 또는 조건’으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어떤 ‘원인에 대한 직접적인 결과’를 가리키며, 어떤 일이 일어나면 발생하는 결과를 나타냅니다. The result of their hard work was a successful product launch. 그들의 노력의 결과로 성공적인 제품 출시가 있었습니다. The heavy rain resulted in flooding in the low-lying areas. 폭우로 인해 저지대 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했습니다. The result of the exam showed that she had passed with flying colors. 시험 결과는 그녀가 훌륭한 성적으로 통과했음을.. 더보기
가주어 진주어 part2 1. 의미상 주어 1) for + 목적격 일의 성격이나 속성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사용할 때 의미상 주어는 for + 목적격 exciting, easy, difficult, possible, impossible, interesting etc. It is easy for me to understand the instructions. 나에게는 지시 사항을 이해하기 쉽습니다. It is difficult for him to solve complex math problems. 그에게는 복잡한 수학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It is possible for us to complete the project on time. 우리에게는 프로젝트를 제때에 완료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It is exciting for t.. 더보기
가주어 진주어 part 1 가주어 진주어 영어에서 간단한 주어는 그대로 쓰지만, 주어의 길이가 길어졌을 때,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주어를 It으로 사용하고 주어 부분에 해당하는 문장은 뒤로 보내 버리는 경향이 있음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특별히 ‘It is~’ 시작하는 문장은 더욱 그렇습니다. 그리고 잘 아시겠지만, beautiful이라는 형용사는 ‘예쁜’이라는 한정적 형용사로 사용되지만, 앞에 ‘be동사 + beautiful’형태로 바뀌면 ‘예쁘다’라는 서술적 형용사가 되는 것처럼,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일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에 따라 ‘의미상 주어의 변화’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으로 주어가 길어졌을 때 It is hard to learn a new language i.. 더보기
단어공부 Words ‘Reservation’은 특정 자리, 장소 또는 서비스를 예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레스토랑에서 테이블을 예약하거나 호텔에서 객실을 예약하는 경우 ‘reserv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특정 일자, 시간 또는 기간 동안 그 자리나 장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킹 또한 여러번 들어봤는데, 네 맞습니다. 골프장에서 많이 들었던 단어입니다. 물론, 저는 골프를 치지 못하지만요. ㅠㅜ ‘book’은 예약 가능한 서비스 또는 상품을 사전에 예약하거나 확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권, 영화 티켓, 콘서트 티켓 등과 같은 특정 이벤트 또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예약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항공권을 예약하거나 영화를 보기 위해 티켓을 구매하는 경우 .. 더보기
사역동사(causative verbs) 사역동사(causative verbs) help < let < have < make 1. make make는 사역동사 중 가장 강력한 단어입니다. 물론, 여러 가지가 있지요. 그저 만들다의 의미로 쓰일 때는 사역동사가 아니지만, 누구로 하여금 ~하도록 만들었다는 강력한 사역동사로 변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동생이나 자녀들에게 어떤 일을 시켜서 그러한 일을 하도록 만드는 것은 엄청난 강압과 힘으로 내리찍는 느낌이 들 정도입니다. 그래서 동등한 입장이나 성인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사역동사로 서의 make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군대에서나 회사의 선배가 혹 사용할 수는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퀴즈가 들어갑니다. 사역동사로써 누구에게 어떠한 일을 시키는데, ‘~하는 것’을 시키지, ‘~했던 것’을 시.. 더보기
지각동사 (perception verbs) 항상 생각해 보면 궁금했지만, 알 수 없었던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지각동사 다음에 오는 동사는 동사 원형이 와야 한다고 자동 반사적으로 외웠던 이 공식 아닌 공식이 궁금해 오늘의 블로그에 상정하게 되었습니다. 한번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각동사 (perception verbs) 우리 몸의 오감을 느끼는 것을 표현하는 동사를 우리는 ‘지각동사’라고 말합니다. 주로 보고 듣고, 맛보고 느끼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여기서 지각동사를 통해서 말하려는 동사를 왜 원형으로 써야 하는지 고민을 해보고자 합니다. 한국말에 과거에 ‘~하는 것을 보았다, 들었다’라고 하지 ‘했었던 것을 보았다, 들었다’라고 하지 않는 이유와 같습니다. 예를 들면 “나는 친구가 자는 것을 보았다 I saw my friend sl.. 더보기